브랜드 로고는 원래 인쇄공들에게 똑같은 인쇄틀에서 비롯된 한 집단의 표시를 나타내는 것이었습니다. 이후에 로고는 상표, 제품, 또는 회사를 대표하는 그래픽 표시의 일정한 그룹을 지칭하기 시작했습니다. 오늘날 회사 명함에도 브랜드 로고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만약 당신이 스트타업을 생각한다면 기본적인 회사 로고를 만들어 보시기 바랍니다. 로고의 의미와 기능을 이야기합니다.
브랜드 로고의 요소
로고의 필수 요소는 암호화입니다. 또한 쉽게 알아볼 수 있게 하기 위해서 불변의 시각적 문법을 나타내야 합니다. 특정한 형상, 상징적 크기와 사용된 색상들이 특허에 의해 엄밀하게 정의되고 보호됩니다. 브랜드의 철자를 코드화한다는 간단한 사실만으로도 로고를 구성할 수 있음에 유념해야 합니다.
브랜드 로고의 기능
독특하고 인식 가능한 표식인 로고는 특정한 카테고리에 속해 있는 어떤 제품이나 작품, 건물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되어 왔습니다. 로고는 항상 존재해 왔습니다. 석공들은 그들의 작품에 표식을 남겼고 고급 가구 제작자들도 그랬습니다. 브랜드라는 단어는 원래 뜨거운 연두로 가축의 가죽을 태운 표식에서 유래되었습니다.
상징을 통한 의사소통은 인간의 특징 중 하나입니다. 숫자는 수학, 단어는 언어와 연관이 되어 있듯이 로고는 현대적인 의사소통의 수단 및 소비 형태와 관련이 있습니다. 로고는 사람들의 관습을 표시하는 새로운 형태인 것입니다. 어떻게 보면 로고는 과도하게 의사소통을 하는 사회의 새로운 알파벳이며 우리 시대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로고의 보완적 2가지 이유
로고는 두 가지 보완적인 이유로 사회적 관계에서 특정 역할을 합니다. 하나는 구매 전에 소비자에게 의사소통을 위한 정보의 내용을 갖고 있으며 다른 하나는 같은 소비자에게 그가 언제 로고와 연관이 되어야 할지에 대한 구매 후 인식에 대한 것입니다.
고도로 미디어화된 사회에서 로고가 우세한 자리를 자치하고 있는 것은 결코 놀랄 일이 아닙니다. 그것은 종종 광대한 커뮤니케이션에 사용됩니다. 최소한의 표시로 최대한의 정보를 담은 나이키의 스우쉬나 기독교인의 십자가는 종합적인 표현력이 매우 뛰어납니다. 그들의 지시 대상과는 별도로 기호학적인 기능도 갖추고 있습니다. 몇 번의 손놀림으로 최대한의 가치나 세계의 비전이 하나로 통합되는 것입니다.
엄격한 로고의 유형을 만들기란 쉽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그들은 너무나 많은 표현 과정을 거치기 때문입니다. 기호학 창시자 중 한 사람인 철학자 찰스 샌더스 퍼스는 아이콘과 지표, 상징 등 세 개의 카테고리로 표식을 분류하였습니다. 각 카테고리는 표식과 그것이 나타내고자 하는 것 사이의 특정한 관계에 대해 설명합니다.
로고의 아이콘
퍼스에 의하면 아이콘이란 유사성 개념에 바탕을 둔, '문자 그대로' 유형의 표식입니다. 예를 들어 사과를 표현하기 위해 사과의 모양을 그리는 것입니다. 그에 반해 지표는 표식과 물건 사이에 강력한, 좀 더 두뇌 활동이 필요한 관계를 해당합니다. 그것은 조금의 예매한도 없이 그 존재를 나타내는 어떤 물건의 흔적이나 결과 혹은 요소를 말합니다.
마지막으로 상징은 표시와 물건 사이의 자의적인 연결이 확립되는 것과 같습니다. 상징의 힘은 공통의 문화를 기본으로 합니다. 하나와 다른 하나 사이에 어떤 도표적인 유사성도 없고 물리적이거나 논리적인 성질의 '객관적인' 연결도 없습니다. 성징과 마주하는 외국인은 그것의 의미를 풀어내지 못할 수도 있습니다. 그렇지만 한 지역의 사회의 구성원들에게 그 의미는 명백합니다. 따라서 상징은 연합적 요소라 말할 수 있습니다.
로고의 지표 기능
이상적인 로고는 지표 기능을 합니다. 브랜드의 꿈은 연기가 불을 의미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로고가 어떤 방법으로든 근본적인으로 브랜드를 대표하게 만드는 것입니다. 비록 그것이 유토피아적인 야망일지라도 말입니다.
'브랜드 마케팅' 카테고리의 다른 글
럭셔리 브랜드 탄생 (1) | 2023.04.10 |
---|---|
브랜드 라이프사이클 패션과 오브제 (0) | 2023.04.10 |
럭셔리 브랜드의 특성 (0) | 2023.04.10 |
트랜드 패션의 오늘날 성공 비결 (0) | 2023.04.10 |
디지털 마케팅을 활용한 퍼스널 브랜드 (0) | 2023.04.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