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브랜드 마케팅

브랜드 산업을 특별하게 만드는 요소

by 창업연구소 2023. 4. 9.
반응형

럭셔리 브랜드 산업의 차이점을 들자면 회사의 규모와 재정적 특정, 시간이라는 요소가 있습니다. 우리가 알고 있는 럭셔리 브랜드는 단순 브랜드 로고, 원자재의 품질로 결정되는 게 아닙니다. 당신의 작지만 강한 스타트업을 위해 지금부터라도 브랜드 로고를 그려시기 바랍니다.

 

브랜드 산업 쎔네일
브랜드

 

브랜드 인지도

모든 비즈니스에서 회사나 산업을 비교할 때 규모란 가장 중요하다고 할 수는 없어도 기준이 되는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럭셔리 세계에서는 그렇지 않습니다. 일반적으로 럭셔리 명품 업체들은 규모는 작아도 높이 평가되며 강력한 이미지를 갖고 있습니다. 디올 패션의 매출액은 대략 8억 유로인데 이것은 560억 유로의 매출을 올리는 푸조 그룹과는 비교가 되지 않습니다. 사실 푸조의 규모는 디올 패션보다 70배나 큽니다. 여기에서 중요한 것은 이 모순을 설명할 무언가가 있다는 것입니다. 그것은 바로 인지도입니다.

 

 

디올 브랜드의 럭셔리는 푸조라는 브랜드 로고보다 세계적으로 더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그리고 바로 이 높은 인지도는 소비자들이 럭셔리와 패션 브랜드에 대해 진정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서부터 옵니다. 대한민국 청담동에서만 보더라도 디올 매장이 자동차 매장보다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그들은 잡지에서 이들 브랜드에 대해 읽고 이들 브랜드에 대해 더 많이 알기를 원합니다.

 

  • 여기에서 첫 번째 결론이 나옵니다. 럭셔리 브랜드들은 규모는 작지만 아주 강력한 인지도를 지니고 있다는 것입니다.
  • 즉, 세계적으로 그들의 이미지와 광고를 볼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작은 개개 회사가 모인 재벌 규모의 큰 그룹을 제외한 대부분의 럭셔리 회사들은 일반 중소기업 정도의 규모밖에 안 됩니다. 어떤 회사들은 아주 작습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작은 매출을 올리는 비즈니스들이 소비자의 마음속에 어떻게 그토록 강력한 존재로 자리 잡을 수 있는지를 생각해봐야 할 것입니다.

 

 

명품 브랜드 라이센스 

럭셔리 산업의 매출 수준을 비교하는 것은 마치 사과와 오렌지를 비교하는 것과 같습니다. 회사의 매출이란 것은 서로 다른 비즈니스 결과의 합이기 때문입니다. 만약 우리가 루이 비통의 총 매출액을 계산하고 싶다면, 전 세계 400여 개의 매장의 매출을 합하면 되기 때문에 일은 비교적 간단합니다. 그러나 카르벵을 보자면 그들의 매출 숫자는 그들이 소유한 매장에서의 소매 판매, 기성복 판매, 수출을 통한 판매와 외부 기업에게 준 라이센스의 총수입을 힙한 액수가 된다. 이 때문에 카르벵의 매출액은 한 가지 요소만을 간단히 합한 루이 뷔통 매출액와 비교하기 힘듭니다. 경험에서 볼 때, 도매 판매는 소매 판매의 약 절반 정도를, 수출을 통한 판매는 일반적으로 소매 판매의 20퍼센트를 차지합니다. 그리고 라이센스 로열티 액수는 대게 거래액의 10퍼센트이며, 이 거래액은 소매, 도매 그리고 수출 모두에서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 브랜드의 파워를 직접적으로 비교하자면, 활동 업무 부문을 그것이 차지하는 비율로 계산하여 모든 것이 결국 소매 판매액으로 환산되어야 합니다. 그러나 이것은 상당히 불공평합니다. 왜냐하면 원래 라이센스 계약을 바탕으로 성장하고 있는 브랜드는 100퍼센트 소매업을 하고 있는 브랜드보다 약하기 때문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소매와 도매, 수출과 라이센스 로열티 사이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아서 추정하기 어렵습니다. 

 

어떤 브랜드들은 라이센스를 통해 판매액의 2~3퍼센트 정도 로열티만으로 꾸려간다고 했을 때, 세계 곳곳에 매장을 두고 있음에도 사업체 자체는 크지 않을 것입니다. 에르메스 같은 브랜드는 향수를 제외한 모든 제품을 직영 매장에서 거의 독점적으로 판매한다는 점을 감안해도 그 매출액은 24억 유로밖에 되지 않습니다. 여전히 푸조나 르노와 같은 자동차 회사와 비교해 볼 때 그리 크지 않지만 럭셔리 브랜드로서는 매우 큰 것입니다. 우리가 시작하려는 스타트업도 작지만 강한 비즈니스를 만들어 나가야 합니다. 질적 성장을 추구해야 합니다.

 

 

 

반응형

댓글